
천문학자는 매일 하늘을 본다. 하지만 하늘은 언제나 똑같지 않다.별은 계절마다 다른 곳에 뜨고, 달의 위상은 매일 변하며, 특정 천문현상은 몇 년에 한 번만 찾아온다. 그래서 천문학자의 하루는 우주가 만든 시간표에 맞춰 돌아간다. 책상 위의 시간표는 단순히 해야 할 일을 적는 일정표가 아니다. 그건 별이 뜨는 시간, 망원경 예약, 연구 미팅, 논문 마감까지 연구자의 삶과 우주의 리듬을 연결하는 지도다.이 글에서는 천문학자의 책상 위 시간표가 어떻게 만들어지고, 그 속에 어떤 과학적 의미와 인간적 고민이 담겨 있는지 살펴본다. 천문학자는 ‘밤’에 산다대부분의 천문학자는 야행성 생활을 한다. 망원경은 태양이 사라진 어둠 속에서만 제대로 작동하기 때문이다.일출~오전: 잠을 자거나 전날 관측 데이터를 정리오후..